코린이의 일지
[혼공]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5주차 -1 본문
5주 차가 되니깐 의무감이 들면서도 한편으로는 에이 이번주는 조금 쉬 엄하자 라는 생각이 생기는 거 같다.... 나약한 나...ㅜ
아무것도 안하는데 왜 이리 바쁜 것인가.... ㅎ 매일 공부하자는 목표가 점점 바뀐다... ㅜ
4주 차부터 어려운 단원인데 솔직히 한 번 하고 이해가 됐다면 난 천재다...ㅎ 진짜 이해했다가도 뒤돌면 생각 안 나고,,, 진짜 어렵긴 하다...ㅋㅋㅋㅋ
이번주의 시작이 늦었지만 늦은만큼 부지런히 하자!
이번주는 객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 저번주의 함수를 다뤘는데 함수는 사용자 정의 함수와 내장 함수가 있었다.
객체는 '이름:값' 의 쌍으로 이루어 있으며 속성이라 말한다. 배열 또한 객체라 할 수 있다.
객체도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.
객체의 분류 | ||
사용자 정의 객체 | - 객체 리터럴 - 객체 생성자 함수 - 클래스 (ECMASscript 2015(ES6)) |
사용자가 직접 정의해서 사용하는 객체 |
내장 객체 | - Number - String - Array - Math - Date - RegExp |
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해 주는 객체 |
예) 고양이
객체 : 고양이
속성 (고유한 특징) : 색, 성별, 크기가 모드 다르다.
메서드 (고유한 행동) : 냐용, 냥펀치 (객체 내 함수를 활용할 때 사용)
let 객체명 = {속성 : 값 , 속성 : 값,...}
- 속성
배열 내부에 있는 값을 요소라 하는 반면 객체 내부에 있는 값은 속성이라 한다. 배열의 요소와 마찬가지로 객체의 속성도 모든 형태의 자료형을 가질 수 있다. 객체의 속성 중 함수 자료형인 속성은 메소드라 한다.
즉,
요소 : 배열 내부에 있는 값
속성 : 객체 내부에 있는 값
- 메서드
객체의 속성 중 함수 자료형인 속성을 말하며 기본적으로 화살표 함수는 메서드로 사용하지 않는다. 입력값을 받아 무언가 한 다음 결과를 도출해 내는 함수 자료형인 속성.
--메서드 내부에서 this 키워드 사용
자기 자신이 가진 속성이라는 것을 표시할 때는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.
오늘은 객체의 기본 이론에 대해 다뤄봤다... 월요일부터 일정이 많아 늦게 시작했다는 점... 이... 크흠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완주하자! 오늘 공부 성공~!
'혼공 > 혼공 5주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]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5주차 -3 (0) | 2024.02.02 |
---|---|
[혼공]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5주차 -2 (0) | 2024.02.01 |